1) 서비스 소개 / 2) 서비스 평가 요약
글로벌 햄버거 기업인 버거킹과 맥도널드의 페이지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 |
▶ 버거킹 별점 : ★★★★☆ 한 줄 요약 : 다채로운 색 사용이 조금은 아쉽지만, 사용성은 좋다고 생각한다. |
![]() |
▶ 맥도널드 별점 : ★★☆☆☆ 한 줄 요약 : 사용자들이 굳이 이 앱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가…? |
3) 프로덕트 핵심 Task
▶ 버거킹
º 핵심 Task : 메뉴 탐색, 주문, 쿠폰
▶ 맥도널드
º 핵심 Task : 메뉴 탐색, 쿠폰, 매장 찾기
4) 프로덕트 비교분석
▶ 홈 화면
º 공통점
- 왼쪽 상단에 전체 메뉴를 볼 수 있게 하는 아이콘
- 메뉴를 홈 화면에 띄움
º 차이(별)점
- 버거킹 - 왼쪽 상단의 전체 메뉴 아이콘을 햄버거 패티처럼 보이게 구성했다.
- 버거킹 - 하단바 활용
- 버거킹 - 끝도 없는 스크롤을 허용하지 않음
- 버거킹 - 광고부의 크기와 화려한 색감, 위치때문에 오히려 중요한 기능인 주문 버튼이 묻혀 보이는 느낌이 든다.
- 맥도날드 - 심플한 구성
- 맥도날드 - 하지만 좋지 않은 UXUI 디자인. 날것의 느낌이 강하다.
▶ 메뉴 탐색 화면
- 버거킹 - 2뎁스로 굉장히 많은 햄버거의 메뉴를 최대한 담고자 했다. 하지만, 그래도 개선해야 할 것 같다고 생각이 든다. 인기메뉴 탭을 스페셜&할인팩 카테고리 뒤에 만들어놓는 것은 어떨까? 매장의 키오스크 이용시 너무 부담감을 느끼게 한다.
- 맥도날드 - 스크롤… 그리고 스크롤… 너무 날 것의 느낌….
▶ 쿠폰 화면
- 버거킹 - 다양한 쿠폰을 3뎁스로 나눠 사용성을 높였다.
- 버거킹 - 회원에게만 제공되는 쿠폰의 색을 구분되게 했다.
- 맥도날드 - 이럴거면 왜 이 페이지를 만든거지?
▶ 버거킹의 독보적인.
- 홈화면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이었던 오더 버튼이 광고때문에 잘 보이지 않았던 문제를 이렇게 재미있게 해결했다. 하단바의 가장 가운데 버튼을 주문버튼으로 만들고, 눌렀을 때 백그라운드가 어두워지면서 다시 한번 홈화면의 버튼이 등장하는 인터랙션을 주었다.
- 버거킹 앱을 설치하는 대부분의 이유는 아무래도 주문 목적일 것이다. 하지만, 버거킹은 단순히 주문용으로서의 앱으로만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아닌, 브랜드의 소개와 브랜드 홍보까지 같이 하는 용도로서 앱을 활용한다.
▶맥도날드의 독보적인.
- 글로벌 기업인 만큼 진입단계에서 국가/언어설정을 하는 페이지가 있었습니다. 여기서 인포그래픽과 아이콘을 활용하여 깔끔하면서도 직관적으로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지를 사용자가 명확하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게 해줬습니다.
- 로딩 화면에서 모션그래픽을 활용하여 맥도날드의 햄버거 세트가 식판 위로 떨어지는, 로딩 바가 채워지는 그리고 텍스트 레이블로 구성한 화면이 너무 좋았습니다.
- 매장찾기 페이지의 구성은 좋았으나… 어떠한 매장도 뜨지 않았다. 쿠폰 화면과 더불어서 준비가 덜 된 채로 출시된 앱이라는 생각이 들게 만들었다.
5) 인사이트 요약
- 하단바는 답답하게 보이게 하지만, 사용성에 있어서는 활용하기 좋다.
- 메뉴 아이콘이 왼쪽 상단에 위치해 있지만, 전체메뉴로 들어가서 원하는 페이지까지 가기에는 댑스가 너무 많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thumb zone에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많이 활용할 만한 메뉴를 하단바에 위치시키는 것이 좋다.
- 너무 많은 색상을 활용하는 것보다 확실히 제한적인 색상을 대표색으로 설정해서 활용하는 것이 훨씬 좋다.
- 컨셉에 맞게 인포그래픽과 모션그래픽을 활용하면 사용자의 지루함이나 인내심의 시간을 훨씬 줄여줄 수 있다.
'UX.UI'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udy] Product Research_테슬라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0) | 2022.11.27 |
---|---|
[Study] Book Study - 힉의 법칙 (0) | 2022.11.27 |
[Study] Product Research - 중고거래 플렛폼 (0) | 2022.11.27 |
[Study] Product Research - 쇼핑 커머스 앱 (0) | 2022.11.27 |
[Study] Product Research - 핀테크 앱 (0) | 2022.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