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X.UI

[Study] Book Study - 힉의 법칙

1) 힉의 법칙이란?

의사결정에 걸리는 시간은 선택지의 개수와 복잡성과 비례해 늘어난다.

선택지가 많다 = 취해야 할 동작이 명확하지 않다.핵심정보를 찾기 어렵다 = 원하는 것을 찾기 위해 많은 지적 능력을 동원해야한다.(인지부하 발생)
  1. 의사결정 시간이 반응시간에 큰 영향을 받을 때는 선택지의 개수를 최소화하라
  2. 인지 부하를 줄이려면 복잡한 작업을 잘게 나눠라.
  3. 추천 선택지를 강조해서 사용자의 부담을 줄여라.
  4. 신규 사용자의 인지 부하를 줄이려면 온보딩을 점진적으로 진행하라.
  5. 추상적이라고 느껴질 정도로 단순화하지 않도록 주의하라.

 

 

 

2) 인사이트

2-1) 디자이너의 궁극적 목표

  • 사용자의 목표를 정확히 이해하고 이를 방해하는 요소를 줄이거나 없애는 것
  • 효율적이고 간결한 방식으로 복잡성을 단순화하는 데 정진

 

 

2-2) 자이너가 경계해야하는 것

= 사용자 임무수행을 방해하는 요소

  • 눈에 띄는 콜 투 액선의 부재
  • 불분명한 정보 아키텍쳐
  • 불필요한 단계
  • 과도한 선택지 및 정보
📌 결론

무조건적으로 선택지를 줄이는 방법 보다는
어떤 선택지로 사용자에게 최선의 선택지를 추천하여 부담을 줄일지 고민하는게 중요하다.

 

 

3) 기억해야할 것

3-1) 인터페이스 선택지의 극단성

인지부하란? 지나친 단순화란?
[인터페이스가 너무 복잡하고, 취해야할 독작이 불명확한경우] [인터페이스가 너무 단순한 경우]
정의 : 인터페이스 익히고 인터랙션하는 데 필요한 정신적 자원의 양 정의 : 지나친 단순화가 사용자 경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시점
핵심 : 프로세스 마지막까지 처음의 목표를 기억하기




가용공간을 초과하는 정보 유입이 일어나면 통상적으로 하던 일임에도 더욱더 어렵게 느껴지고, 세부사항을 놓침.
즉, 나쁜 사용자 경험이 됨.
추상화라고 할정도의 단순화
= 어떤 조치?
= 다음 단계무엇?
= 특정 종보 어디서 찾아?
= 모든것이 불분명해짐
= 혼란초래
= 사용자의 인지 부하 커짐

ex) 사용자 즉시 알아보지 못하는 아이콘(보편성 충족X)

 

 

4) 사례탐구

4-1) 지나친 단순화 예방를 예방하다

  • 텍스트 레이블과 아이콘 동시 제공(투위터 앱 / 카카오톡 앱)
  • 마우스 오버 효과로 아이콘 부가 설명 제공(트위터 웹)
카카오톡 앱 트위터 웹 트위터 모바일

 

 

4-2) 선택지 개수가 많음에도 복잡도를 줄이다

 

추천 선택지를 제안 및 강조 효과를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선택지 사이에서 고민을 해야하는 사용자의 부담을 줄여줌

선택지의 워딩이 단순하고 실사이미지를 통해 직관적으로 보여줌. 고객 입장에서 가장 보고 싶어하는 부분을 명확히 보여주는 느낌.

 

 

4-3) 인지 부하를 줄이기 위한 온보딩 종류

1) 핵심만 전달(불필요한 단계 최소화)  앱에 관한 간결한 글과 시작하기 버튼으로 재빠른 가입을 유도합니다.
회원가입까지의 선택지 최대로 간결화하여 선택에 대한 부담 최소화

2) 사용 가능 기능 미리 보여주기
(온보딩 점진적 진행)


3) 개인화된 경험 제공하기 사용자의 ‘수준’을 먼저 파악한 후 자동으로 선택지 제안(1차적으로 선택지 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