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X.UI

[Study] Product Research - 중고거래 플렛폼

1) 서비스 소개

우선 우리가 비교해볼 앱의 슬로건과 특성을 살펴보고, 앱의 목적을 이해해보자.

 

  당근마켓

  : 동네 기반 직거래 커뮤니티 플랫폼
  : 중개 수수료 0원
  : 슬로건_당신 근처 당근마켓
  번개장터

  : 국내 최초 중고 거래앱
  : 1020 사용자 비율 최고
  (취향에 맞는 물건은 비싸더라도 살 의향이 있는 소비층)

  : 슬로건_취향을 잇는 거래

 

 

2) 서비스 평가 요약

1️⃣ 당근마켓

📍 한 줄 요약 : 정보구조가 및 UI가 단순하고 직관적이여서 모든 세대를 아울러 쉽게 이용가능하다. 사용자의 멘탈모델에 익숙한 UI들로만 구성되어있어, 사용자가 가지는 디지털 숙련도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사용 난이도

 

2️⃣ 번개장터

📍 한 줄 요약 : 커머스앱의 구조를 띄고 있으며, 카테고라이징에 최적화 되어있는 UI구성이다. 상품 추천에 있어서도 브랜드, 실시간 인기상품등 훨씬 세분화되어있다. 

사용 난이도

 

 

3) 프로덕트 핵심 Task

당근마켓   상품 탐색(실시간 중심), 상품 등록, 거래, 결제(현금결제/당근페이), 후기(매너온도, 판매내역) 등
번개장터   상품 탐색(카테고리 중심), 상품 등록, 거래, 결제(현금결제/번개페이), 후기(상점배지, 판매내역) 등
📌 분석 대상 Task : 상품 탐색 → 구매

 

 

 

4) 프로덕트 비교분석

1️⃣ 상품 탐색

Home, 카테고리 분류, 검색, 제품상세페이지를 통해 상품을 탐색하는 과정을 이해하고 각 앱의 특성이 반영된 부분을 비교해보자.

 

  당근마켓 번개장터
HOME화면 [리스트형]
[그리드형]


판매의 목적이 같음에도 홈화면에서 큰 차이를 보여준다.
  - 업데이트 순으로 실시간성 위주의 제품 추천
  - 리스트안에 광고성 정보 함께 섞어놓아 제품이 먼저 보임
  - 카테고리 중심의 제품 추천
  - 광고성 배너가 가장 시선의 우위에 놓임
카테고리 분류
  1) 카테고리 모음 진입

  : 위치 정보가 중요한 플랫폼이다보니 메뉴의 우선

  순위가 낮아져 검색, 알림기능과 같이 그룹핑됨

  : 검색, 알림과 분류되어있음
  2) 카테고리 분류 기준

  단순 : 당근마켓이 카테고리 기준 명료해보이고 번개장터가 복잡해보임.
  심화 : 앱의 사용군이 가지는 검색 목적을 고려한 차이이다.

  당근마켓은 실시간성 중심의 이웃 물건거래가 목적이지만,
  번개장터의 경우 ‘취향’이라는 목적에 부합하는 제품을 찾는 것이기다.
  그렇기에 제품군 특정할 수 있도록 기준을 좁혀나갈 수 있는 카테고리 형태가 적합하다.
  카테고리가 단일 계층이며,
  분류안에 또다른 조건이 붙지 않는다.

  ex) 카테고리
  → 여성의류
  → (최신순)제품 리스트
  카테고리가 훨씬 더 세분화 되어있으며,
  각 분류마다 세부 분류가 또 있다.

  ex) 서비스별 / 브랜드별 / 카테고리별 카테고리
  →인기취향→여성가방→클러치백
  → 제품 리스트(최신순/인기순/가격순 등)
검색
  앱 사용자군이 명확하게 다름이 드러난다.
  : 이웃들 검색량을 기준으로만 추천키워드 제공   : 브랜드, 검색어 등 더 많은 유행 민감도를 드러냄 
  :  ‘특정상품군에 충성도가 높은 사용자’
제품상세페이지
  상세페이지에서는 두 앱의 기능요소들의 컨셉차이를
  더 명확히 드러내는데매너온도, 안전결제 등의 기능이 그 예시이다.

  중고거래의 핵심은 ‘신뢰도’를 어떻게 보여주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매너온도]

  판매자의 누적된 평가를 수치로 판매글과
  함께 보여줍니다. 거래 리뷰를 직접 찾아보지
  않아도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신뢰도와 앞으로의
  거래를 기대하게 합니다.
  [본사람 / 찜 / 대화가 오고간 횟수]

  사용자는 이 수치를 통해 경쟁 구매자를
  직관적으로 확인하고, 관심도가 높을 수록 제품의
  대한 신뢰와 사고싶다는 마음이 형성됩니다.
  [안전결제]

  안전결제라는 단어만으로 신뢰감을 형성하며,
  색상과 위치를 통해 행동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2️⃣ 구매

구매 채팅창
  거리 근접도를 기반으로 한 이웃 중심 플랫폼이다
  보니 직거래 선호

  ex) 약속 잡기 : 직거래 중심의 기능요소 
  전국단위 중고거래 플랫폼이다보니 택배거래 선호

  - 포인트 컬러 사용 : 택배거래다 보니 사기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번개페이/안전결제 더욱 강조
  - 택배거래 선택을 유도하는 UX

 


 

5) 인사이트 요약

타겟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세부적인 기능요소들이 어떻게 달라지는 확인해보았습니다. 거래의 두려움을 덜어주는 요소에서도 우선적으로 노출하는 정보의 기준이 달랐는데요. 사용자에게 사랑받기 위해서 UX적으로 어떤 전략을 짜야하는지 심도있게 고민해보는 시간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