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ERVER

(7)
[3기 SERVER 스터디] 3주차 - 블로그 기획하고 API 만들기 06장. 블로그 기획하고 API 만들기 1. API와 REST API네트워크에서 API는 프로그램 간에 상호작용하기 위한 매개체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서버에 잘 전달하고 서버의 결과물을 클라이언트에게 잘 돌려주는 역할REST API는 웹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는 API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해 자원의 상태를 주고받는 API 방식, 명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APIREST API는 URL의 설계 방식임.REST API의 장단점✅ URL만 보고도 무슨 행동을 하는 API인지 명확히 알 수 있음✅ 상태가 없다는 특징이 있어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역할이 명확히 분리됨✅ HTTP 표준을 사용하는 모든 플랫폼에서 사용 가능❌ HTTP 메서드, 즉, GET, PO..
[3기 SERVER 스터디] 2주차(A) - Spring Boot3 입문 1장 ~ 3장GDG on Campus, SWU 지부의 Server 부서 스터디 시간에 진행한 내용입니다. OT 이후로 두번째 시간으로 교재는 신선영 작가님의 을 활용했습니다.01장. 자바 백엔드 개발자가 알아두면 좋은 지식서버와 클라이언트첫 번째로, 인터넷 서비스는 보통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관계를 맺기 때문에 이 둘의 관계를 잘 이해해야 한다.클라이언트는 ****서버로 요청하는 프로그램을 모두 일컬어 말한다.ex) 웹 브라우저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 처리하는 주체이다.데이터베이스데이터베이스는 여러 사람이 데이터를 한 군데에 모아놓고 여러 사람이 사용할 목적으로 관리하는 데이터 저장소이다. 흔히 데이터베이스를 말할 때 MySQL, 오라클, 포스트그레SQL 등을 이야기하는데 엄밀히 말하면 이것들은 데..
[SERVER 스터디] 5주차 스터디 - ERD (Entity Relationship Diagram) 란? ERD (Entity Relationship Diagram) 란? 'Entity 개체'와 'Relationship 관계'를 중점적으로 표시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한 눈에 알아보기 위해 그려놓는 다이어그램 ERD는 실체(Entity), 속성(Attribute), 관계(Relationship)로 구성 Entity Entity는 관리하고자 하는 정보의 실체이며, 사람, 객체 혹은 개념 ERD에서는 개체를 "사각형"으로 표기한다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이 엔티티로 표현됨 Attribute 개체가 가지고 있는 속성 Entity를 구성하고 있는 구성 요소 ERD에서는 속성을 "원"으로 표기한다.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의 각 필드(컬럼)들이 엔티티 속성임 Relationship Entity와 Entity간의 관계를 나타..
[SERVER 스터디] 3주차 스터디 - JPA, ORM, JPA, 빌더 패턴, 트랜잭션 ORM(Object-Relational Mapping) 정의 ORM은 객체 관계 매칭이라고도 합니다. 필요 이유 데이터베이스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간의 패러다임 불일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프로그래밍 기술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와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서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데이터베이스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간의 패러다임 불일치 때문에 개발자는 더 많은 코드를 작성해야 하며, 이는 반복적이고 실수하기 쉬운 작업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개발자는객체지향적인 설계에 집중할 수 없게 됩니다. 패러다임 불일치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데이터 표현 방식이 달라서 생기는 문제를 패러다임 불일치라고 합니다. 패러다임 불일치가 일어나는 이유는 애초에 이들의 목표와 동작..
[SERVER 스터디] 2주차(B) - 간단한 Controller와 테스트 코드 작성 Week 2, 2023년 9월 18일 Server 부서 정기 스터디 Spring Boot에서 간단한 Controller와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며 관련 개념도 공부했습니다. 작성한 코드는 GDSC SWU GitHub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주요 개념 @RestController @Controller @ResponseBody @WebMvcTest @Autowired DTO VO Request Parameter REST API @RestController @RestController는 @Controller에 @ResponseBody가 추가된 Annotation입니다. 1. @Controller View 반환을 위한 Annotation View가 Json 형태의 Data가 될 수도 있음. 요청 과정 (지난 Di..
[SERVER 스터디] 2주차(A) - Spring Framework 기본 개념 Week 2, 2023년 9월 18일 Server 부서 정기 스터디 이번 시간에는 Spring Framework의 기본이 되는 개념들에 대해 공부했습니다. 해당 개념들을 코드와 함께 연결지어 구현 방법과 그 원리를 이해하는 것도 중요할 것 같습니다. 다소 추상적이고 이론적인 면이 커서 힘들었을텐데 열심히 공부한 우리 스터디원들 모두 정말 대단합니다~ 스터디 시간에 강조했던 개념 위주로 정리하겠습니다. 주요 개념 IoC/DI AOP PSA 스프링 빈 스프링 컨테이너 스프링 부트 계층 구조 DispatcherServlet Spring Triangle Spring Framework의 3가지 핵심 개념을 나타냅니다. 📂 POJO (Plain Old Java Object) 구성된 단어 자체만 봐도 알 수 있듯이 ..
[SERVER 스터디] 1주차 스터디 - 깃 & 깃허브 (GIT & Git-Hub) 01. 버전 관리 시스템(VCS) Version Control System, 한국어로는 버전 관리 시스템, 약자로는 VCS로 문서나 설계도, 소스 코드 등의 변경점을 관리해주는 소프트웨어 [ex] v.1.0, v.1.1, v.2.0 (앞 숫자, 뒷 숫자 표기 방식은 회사마다 규정 상이, 스페이스바나 엔터 하나만 추가 되어도 다음 버전) 02. GIT vs Git-Hub (1) GIT 서버와 로컬에서 버전 관리가 가능하며(= 인터넷 연결이 없어도 됨), 로컬이 서버가 될 수 있고, 서버도 로컬이 될 수 있다. 브랜치라는 개념을 사용해, 개발자 마음대로 로컬 환경에서도 버전 관리가 가능하다. (2) Git-Hub GIT으로 관리하는 프로젝트를 호스팅 해주는 사이트 중 하나이다. 로컬 저장소에서 작업하던 파일..